나이별 혈압정상수치 알고 계신가요? 예전에는 젊은 분들 중 고혈압 환자가 많지 않았지만 요즘엔 20-30대 분들도 많고 심지어 10대 환자들도 늘고 있다고 합니다.
혈압은 너무 높지도 낮지도 않게 잘 관리해야 합니다. 오늘은 나이별 혈압정상수치 알아보고, 혈압 관리법도 안내 드리겠습니다.
1. 혈압이란
혈압은 혈액의 압력입니다. 심장은 순환기관으로 우리 몸에 펌프작용을 해서 혈관에 혈액을 이동시키는데요. 이 과정에서 생기는 압력을 수치화한 것이 혈압입니다.
혈압 정상범위
수축기 혈압 120mmHg 미만
이완기 혈압 80mmHg 미만
심장은 수축과 이완을 반복합니다. 심장이 수축해서 혈액을 쭉 내보낼 때 혈압이 가장 높습니다. 이를 수축기 혈압이라 하며 120mmHg 미만을 정상 범위로 봅니다. 심장이 이완시 혈액을 받아들일 때 혈압이 가장 낮습니다. 이를 이완기 혈압이라 하며 80mmHg 미만을 정상 범위로 봅니다.
WTO (세계보건기구)에서 제시한 혈압정상수치는 아래와 같습니다.
최고 혈압 | 최저 혈압 | |
고혈압 | 160 이상 | 95이상 |
경계성 고혈압 | 140-159 | 90-94 |
정상 혈압 | 101-139 | 61-89 |
저혈압 | 100이하 | 60이하 |
그래서 나이별 혈압정상수치에 상관없이 보통 80-120을 기준으로 하여 혈압이 높다 낮다 이야기를 하는 경우가 많은 것입니다.
2. 나이별 혈압정상수치
그런데 혈관도 노화가 진행됩니다. 정상 범위의 혈압이 젊은 분들보다 어르신들의 정상 혈압범위가 높은 이유입니다. 아래 표에 나이별 혈압정상수치를 성별로 나눠 안내드리겠습니다. 가족력이 있거나 젊은 분들은 혈압을 꾸준히 체크하시고 잘 관리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1. 남자
남자분들의 나이별 혈압정상수치를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연령 | 최대 | 최저 |
10대 | 110-134 | 59-79 |
20대 | 113-137 | 64-84 |
30대 | 114-142 | 67-89 |
40대 | 126-150 | 71-95 |
50대 | 121-159 | 73-97 |
60대 | 124-166 | 73-95 |
70대 이상 | 128-170 | 71-95 |
2. 여자
여자분들의 나이별 혈압정상수치를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연령 | 최대 | 최저 |
10대 | 101-123 | 57-75 |
20대 | 103-125 | 60-78 |
30대 | 106-134 | 63-83 |
40대 | 112-146 | 68-90 |
50대 | 117-159 | 70-94 |
60대 | 124-166 | 71-93 |
70대 이상 | 131-173 | 68-94 |
고혈압이라면
고혈압은 수축기 혈압 140mmHg 또는 이완기 혈압 90mmHg 이상일 때를 기준으로 봅니다. 고혈압은 심각한 수준 전까지 전조 증상이 없어서 더욱 조심하셔야 합니다. 고혈압은 뇌졸중, 뇌출혈, 협심증, 심근경색 등 다른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니 평소 관리에 신경 쓰시는 것이 좋습니다.
고혈압 가족력이 있으시다면 더욱 조심하셔야 하고, 비만, 음주, 흡연, 과도한 스트레스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으니 자제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짠 음식을 좋아하는 식습관이 고혈압에 위험하니 식습관 개선을 위해 노력하셔야 합니다.
기름지고 짠 음식 먹지 않기, 매일 30분 이상 운동, 적정 체중 유지, 이 세가지를 반드시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저혈압이라면
저혈압은 수축기 혈압인데도 90mmHg 보다 낮은 때를 기준으로 봅니다. 혈압이 떨어졌다는 것은 중 피부나 근육 등에 혈액이 잘 공급되지 않는다는 의미이기 때문에 두통, 어지럼 증상 심하면 호흡곤란, 발작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저혈압이 지속되면 쇼크사로 이어지는 경우가 있어 고혈압보다 더 관리에 힘쓰셔야 합니다.
저혈압도 과도한 스트레스가 원인일 수 있지만 잦은 출혈, 과로, 내분비질환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 또한 실신, 심장 질환 등의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니 주의하셔야 합니다.
앉거나 누운 자리에서 갑자기 일어나지 않는 등 심장에 무리를 주는 행동을 조심하셔야 합니다. 과격한 운동보다는 적당히 땀이날 정도의 운동을 꾸준히 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혈압을 정확하게 측정하려면
건강검진 하실 때 급하게 병원에 도착했다가 혈압이 높게 나와 다시 측정한 경험 있지 않으신가요? 혈압은 수시로 변하기 때문인데요. 정확한 측정을 위해서는 몸과 마음을 편안히 하고 5분 정도 기다리셨다가 측정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혈압은 측정 환경이나 측정자의 상황에 따라 결과가 쉽게 바뀝니다. 측정 30분 전에는 운동, 흡연, 음주 등의 활동을 삼가시고 안정을 취하신 후 측정하시면 정확하게 측정하실 수 있습니다.
측정시 몸을 비틀거나 다리를 꼬지 않고 바른 자세로 측정하셔야 합니다.
지금까지 나이별 혈압정상수치와 고혈압과 저혈압의 차이 및 혈압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방법을 안내드렸습니다. 꾸준히 관리하셔서 건강한 혈관 건강 유지하시기 바랍니다.
▼ 참고하면 좋은 글
'Life >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편두통 원인과 편두통 심할 때 해결 방법 (10가지 궁금증 해결) (0) | 2022.11.19 |
---|---|
거식증이란 (feat. 초기증상 및 치료방법) (0) | 2022.11.18 |
혈액순환이 안되면 나타나는 증상 (0) | 2022.11.16 |
김치 효능 TOP 10 (feat. 최고의 운동선수가 먹는 음식) (0) | 2022.11.15 |
케겔운동의 효과 (꾸준히 자주 해보세요) (0) | 2022.11.15 |
댓글